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663 lines (562 loc) · 52.7 KB

READM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663 lines (562 loc) · 52.7 KB

알고리즘 문제 풀이

  • 백준프로그래머즈 사이트에서 풀었던 문제들에 대한 코드를 올려놓은 repository입니다.
    • 코드(이하 솔루션)는 src 폴더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백준 문제에 대한 솔루션은 문제 닉네임과 문제 번호가 함께 표기되어 있습니다.
      • 프로그래머즈 문제에 대한 솔루션은 문제 닉네임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repository 내에서 따로 분류해야 할 것 같습니다.
      • 모든 솔루션에 대한 언어는 java 및 python 입니다.
      • (2020/09/25) 못 풀었지만 생성된 문제에 대한 파일은 ${filename}_(unsolved) 표시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 leetcodecodeforce 문제들을 일부 추가하였습니다.

오답노트: 다시 풀어보았으면 좋을 법한 문제들

  1. 문자열 압축 (프로그래머즈)

    • 굳이 String을 만들 필요 없이 개수만 계산하면 되는 것임
  2. 숫자 카드2 (백준)

    • lower_bound 또는 upper_bound 구현
    • python 으로 시도했는데 TO로 실패함. bisect library 이용해서 풀음.
  3. 한윤정이 이탈리아에 가서 아이스크림을 사먹는데 (백준)

    • 핵심은 배열을 활용하는 것
      • 금지 조합은 2가지인데, 선택 조합은 3가지
      • 여기서는 선택 조합 보다는 금지 조합에 대한 배열을 만들고, 선택 조합을 금지 조합에 대입시켜보는 것이 맞다.
      • 예) (1,2,3) -> (1,2), (2,3), (1,3) 확인
    • python lib의 itertools.combinations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림
    • 다중 for문으로 푸는것이 훨씬 빠름 (약 3배정도)
  4. 경주로 건설 (프로그래머즈)

    • bfs 로 해결하는 것인데, 테스트 케이스가 부족하여서 조금 쉬운 문제가 되버림 (하지만 난 못풀었음)
    • 핵심은 memoization도 적절히 섞어줘서 가지치기를 진행하는 것
    • python에서의 상하좌우 이동은 tuple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음
    • python에서의 queue는 list 보다는 collections의 dequ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음
  5. 자와 각도기

    • BFS보다 DFS를 사용하는게 빠른 문제
    • 는 쓰지 않음
    • 각도의 개념을 이해하는게 중요했음
  6. 사탕 게임

    • 구현은 어렵지 않았는데, 경우의 수가 핵심이었다.
      • 사탕끼리 바꾼 행,열 만 고려해야되는게 아니라, 이미 바꾼 상태에서도 얻을 수 있는 최대값이 다른 어디엔가 존재한다.
  7. Maximum Sum Obtained of Any Permutation (leetcode)

    • 주어진 여러개의 구간들 중 가장 많이 중첩된 순위를 한꺼번에 계산하는법
      • 핵심 : 시작 구간에는 1 그리고 마지막 구간 + 1 에는 -1 을 놓고(더하고) 굴린다..!
  8. Split a String Into the Max Number of Unique Substrings

    • 풀긴 풀었는데 재귀로 풀었다가 TLE 나버린 case
      • Backtracking 솔루션을 보니 훨씬 깔끔했다. 다만 이해하긴 좀 어려웠음.
  9. 징검다리 건너기

    • 두가지 해결 방법이 있는 문제
      • Sliding window Maximum 활용 (나는 이 방법을 썼다.. 이해하는데 오래걸렸다)
      • 이진 탐색하면서 일일이 check
  10. 토마토

    • 문제는 잘 풀었는데, python의 dequearrayloop에 관련하여 할말이 있다.
      • for i in range(len(deque))while len(deque) >= 1 보다 확실하게 현재 deque에 포함된 모든 내용을 확인한다.
        • while 의 경우, while 문 내에서 deque값이 추가되면 그 값도 꺼내지게 된다.
      • 2차원 arrayloop의 경우, 특정 값 t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처럼 하면 좋다.
        for i in array: if t in i: print('exist!')
  11. Majority Element II

    • 핵심: 크기가 n인 배열 중 특정 원소의 개수가 ⌊n/2⌋ 보다 많은 원소는 반드시 개만 존재한다.
      • 그럼 ⌊n/3⌋ 의 경우는 ?
  12. Gas Station

    • 움직이면서 자원을 충전 그리고 소모를 반복하는 문제
      • 두 가지만 파악하면 되었다.
        1. 움직이는 사이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 모든 자원 >= 소모 자원
        2. (1)이 확인되었다면, 반드시 정답은 존재
          -> 0~n 방향으로 자원 충전 및 소모 진행하면서 시작 위치 찾기
  13. 부분수열의 합

    • combination을 구하는 방식이 잘못되었다.
      • 부분 수열에서 combination 구하는 것은 sliding 방식으로 구해야 한다.
        (1,2,3) -> (1,2), (2,3), (1,2,3)
  14. 욕심쟁이 판다

    • dfs (또는 bfs) + memoization 사용 문제
      • memoization 업데이트 방식이 내가 경험한 것과 다르다.
      • 주워 들음) dp는 한번 정하면 일반적으로 절대 수정하면 안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자.
      • 이 문제의 경우, memoization의 이유 말고도, 이미 방문한 곳은 절대 방문하지 않는다.. 왜? 판다의 특성 때문에
      • 다시 한번 살펴보는게 좋을 것 같다.
  15. 골드바흐의 추측

    • 에라스토테네스의 채를 이용해 소수를 빠르게 구하는 방법을 터득하자.
    • image
    • 참고 : math.sqrt(m) 대신에 m ** 0.5 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16. ABCDE

    • DFS에서 굳이 2d 배열로 연결되있지 않은 vertices 까지 체크할 필요가 없다.
      • set() 또는 list()가 들어간 2d 배열을 만들어서 연결되있는 것만 집어넣어 주자.
      • 그리고, dfs에서 이미 방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set() 말고 bit manipulation이 있다.
        • 우선 방문한 노드가 i 라고 가정하면, z += (1 << i)z 에 저장
        • 이후 어떤 노드 k가 이미 방문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1 << k) & z == 1 로 확인한다.
  17. 숨바꼭질3

    • 가중치(cost)가 다른 문제에서의 BFS 사용: 이 문제는 cost가 다르다. (순간 이동 cost: 0, 움직임 cost: 1)
      • 너무 길어지는것을 막기 위해, 최대한 빠른걸 먼저 해결해야 하고, 이를 위해 그냥 queue 대신 priorityQueue를 사용한다.
      • 또한 문제 input에 대한 여러 경우의 수를 생각해보는 것을 잊지말자.
  18. 이분 그래프

    • 이분 그래프의 정의
      1. 그래프의 정점의 집합을 둘로 분할하여, 각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분할할 수 있을 때, 그러한 그래프를 특별히 이분 그래프 (Bipartite Graph) 라 부른다.

      2. 인접한 정점끼리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서 모든 정점을 두 가지 색으로만 칠할 수 있는 그래프 image
    • 각 정점에 대해서 BFS 또는 DFS 사용
      • BFS 또는 DFS를 사용하면서 특정 정점에 인접한 정점들은 특정 정점과 반대의 색을 칠한다.
      • 칠하는 도중, 만약 이미 칠해진 정점을 발견한 경우, 그 정점이 인접한 정점과 같은 색이라면 이분 그래프가 아니다.
  19. Largest Number

    • 서로 붙여보면서 정렬하는 것이 핵심. 답은 정말 간단한데 너무 창의적이라 생각을 못했다.
  20. Two Sum

    • 주어진 배열의 두 숫자를 더해서 목적하는 값을 찾는 문제
      • O(n^2)은 너무 쉽고, O(n)으로 풀려면 hashtable을 사용해야 했다.
      • hashtable에 숫자를 넣으면서 동시에 체크하는 방법이 빠름
  21. Maximum Number of Achievable Transfer Requests

    • 최대/최소를 구하는 문제의 contraints가 작은 경우 (1<= n<= 20, 1<= request.length <=16), 모든 조합을 고려해볼 것
      • itertools.combinations 사용
  22. Pokémon Army (easy version)

    • Local minima & local maxima를 구하는 문제
      • 배열 a의 local minima란, i번째 원소 a_ia_(i-1) >= a_i && a_i <= a_(i+1)를 만족하는 경우 (구덩이, valley)
      • local maxima는 그 반대, 즉, a_(i-1) <= a_i && a_i >= a_(i+1) (동산, peak)
    • 배열에서 최대의 합을 구하는 문제가 있다면, 그 값들을 시각화 하는 것도 문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 만약 + 로 시작해서 -, +, -, + 이런 순으로 원소들의 최대 합을 구하는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정답은 홀수 번 합이다 (e.g. + - +).
  23. Subarray Product Less Than K

    • Sliding Window를 활용 해서 해결하는 문제
      • [1, 2, 3]이 가질 수 있는 총 subarray가 a개인 경우,
        [1, 2, 3, 4]의 총 subarray는 a + end - start = a + 4 - 0 가 된다.
        • 여기서 start1 의 index, 그리고 end4의 index + 1
      •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array에서 window를 놓고 sliding 시키면서 product 값 그리고 subarray 개수를 계산하면 됨
  24. 스타트와 링크

    • 문제 자체는 쉬웠는데, 짝수 n 명을 반/반 두 팀으로 나누는 조합에 대하여 할말이 있다.
      • pythonitertools.combinations()에서 생성된 조합을 절반으로 나누면 위 조합이 만들어진다.
        • 예를 들어 n=4명의 조합은 (0, 1), (0, 2), (0, 3), (1, 2), (1, 3), (2, 3) 인데, 이를 절반으로 나누면 정확히 반/반 조합이다.
        • 즉, A = (0, 1), (0, 2), (0, 3) / B = (1, 2), (1, 3), (2, 3) 으로 나누고, A[i]B[n-i-1] 와 정확히 매칭된다.
  25. 퍼즐

    • 조그만 2차원 배열을 쉽게 다루는 방법
      • 3x3 배열인 경우 (0,0)부터 (2,2)까지 각 원소들을 하나의 문자열로 표현한다. (e.g.123456780)
  26. First Missing Positive

    • 문제는 쉽지만, 더욱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
      • 길이가 n인 배열 a에 포함되지 않은 가장 작은 양수는 반드시 1~(n+1) 사이의 값이다.
      • 그리고, a의 원소의 크기가 1이상 n미만이라고 할 때, 해당 원소의 등장 횟수를 a 자체에서 셀 수 있다.
        • a의 원소를 인덱스로 여기고 길이를 더해준다 -> a[a[i]%n] += n
        • 이후 a[i] // n == 0 인 경우, 그 i값은 a에 원래 존재하지 않았던 원소라는 것을 체크할 수 있다 (출처).
  27. K-diff Pairs in an Array

    • Counter를 활용하는 문제: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 b-a == k, a <= b를 만족하는 쌍 (a, b) 찾기
      • 리스트의 모든 값들을 Counter에 넣은 다음, Counter[b-k]가 하나라도 count 되었다면, 그 쌍 (a, b)는 리스트에 존재함
  28. Rotate List

    • Rotate 하는 list를 만들기
      • 우선 list를 circular 하게 만들자 (꼬리가 머리를 가리키는 식으로).
      • 그리고, 그 꼬리에서 다시 len(list) - (k % len(list)) 만큼 이동한 후(k는 list 이동 횟수), 도착한 list의 노드가 꼬리가 된다.
        • 그 노드(A)를 꼬리로 만드는 방법: head = A->next 그리고, A->next = None
  29. Count Subtrees With Max Distance Between Cities

    • Tree에서 가능한 모든 Subtree를 찾는 방법: 가능한 모든 vertices의 조합을 찾아내서, 그것이 tree 인지 확인
      • 가능한 모든 vertices 조합을 찾는 방법: combinations 또는 bitmasking사용
      • Tree인지 확인하는 방법: BFS 또는 DFS조합에 존재하는 정점 간 거리를 구하고, 만약 구할 수 없다면 tree가 아님
        • BFS 방법(다익스트라 응용): 초기 거리를 무한으로 설정(시작 노드만 0), queue를 이용해서 정점을 넣고 빼고, 이웃 정점 거리 = 이전 정점 거리 + 1
    • BFS로 풀어보는 것을 권장
  30. 불!

    • 예외 케이스를 기억하자: 1) 불은 한개가 아닐 수 있다, 2) 미로의 크기가 최소인 경우 (1 by 1)
  31. 팰린드롬 만들기

    • AAABB로 팬린드롬 만들 때 -> ABABABAAAB 보다 사전 순 먼저임
      • 위의 경우, 홀수나 짝수 상관없이 알파벳 순으로 절반씩 붙여주고, 가운데 하나만 홀수 알파벳을 붙인다 (AB + A + BA)
  32. Sort List

    • Merge Sort를 활용하여 linked list 정렬하기
      • Top Down 방식과 Bottom Up 방식이 존재함
        1. Top Down: O(nlog(n))의 Time complexity 그리고 O(log(n))의 Space complexity
          • O(log(n))은 recursive call stack의 추가 공간 요구 때문에 발생 (트리의 높이라고 생각하면 됨)
          • Linked list의 중간 node 찾는 법: head에서부터 하나는 1 node, 다른 하나는 2 node 씩 움직이는 pointer를 활용
          • Merge 방법: dummy head를 만들고, 합치려는 두 list의 node 중, 작은 값부터 순서대로 dummy에 엮어줌
        2. Bottom Up: O(nlog(n))의 Time complexity 그리고 O(1)의 Space complexity
          • 아직 자세히 확인하지 못함
  33. Rotate Array

    • Given an array, rotate the array to the right by k step
    • O(n)의 Time complexity 그리고 O(1)의 Space complexity로 rorate하기
      • 예시로 이해하는 것이 빠르다. 배열 A: [1,2,3,4,5] -> [4,5,1,2,3] (When k=2)
      • 일단 A를 뒤집어보면: [5,4,3,2,1].. 패턴이 보이는가? [/5,4/3,2,1/]: /로 나눠진 부분을 뒤집어 주면된다.
  34. 132 Pattern (Keyword: Stack)

    • n개의 원소를 가진 nums배열이 i < j < k and nums[i] < nums[k] < nums[j]를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문제
    • 핵심은 i < j면서 nums[i] < nums[j]를 만족하는 j를 먼저 찾고, 그 다음 j를 중심으로 조건을 만족하는 k를 찾는다.
      • j0~len(nums)-1까지 움직이면서 i_nums[j]을 update
        • i_nums[j]이란, numsj번째까지의 원소 중 가장 작은 원소를 의미: 이것이 i가 됨
      • 만약, i_nums[j] < nums[j]라면, 반드시 i < jnums[i] < nums[j]를 만족하는 j가 있다는 뜻임
      • 그리고 j + 1 이후부터 조건을 만족하는 k를 찾으면 된다.
    • 위 방법은 O(n^2) 방법이다. 하지만, binary search를 이용하는 O(nlog(n)) 그리고 stack을 이용하는 O(n) 방법이 존재함
    • 더 좋은 방법은 이후에...
  35. Trapping Rain Water

    • 일련의 양의 정수 높이가 존재하는 n개의 블럭들이 주어지고, 블럭에 물을 부었을 때 얼마나 많은 물이 블럭에 잠기는지 세는 문제
    • 핵심: i번째 블럭이 보유할 수 있는 물의 높이 H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0~i번째 블럭 중 가장 높은 높이 A, i~n-1번째 블럭 중 가장 높은 높이 B
      • H = min(A,B) - h (hi번째 블럭의 높이)
        • 물론, min(A,B) > h의 경우만 위 식이 성립, 아니면 H = 0
      • 시간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배열 leftright를 사용 (left[i]A 그리고 right[i]B를 저장하는 배열)
    • Maximize Distance to Closest Person
      • 풀이 방법이 비슷한 문제 (left, right 배열 활용)
      • 배열들을 사용하지 않고 공간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 어떤 좌석 i에서 가장 가까운 사람과의 거리는 min(i - prev, future - i)
        • previ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왼쪽 사람이 앉은 자리, futurei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오른쪽 사람이 앉은 자리
        • future를 위해 python에서 generator를 활용할 수 있음
  36. 가운데를 말해요

    • min heap & max heap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문제
      • 전체 배열 A 중에서 min heap은 내림차순 담당, max heap은 오름차순 담당
      • A = [1,2,3,4,5] 의 경우 min heap: [5,4], max heap:[1,2,3]
    • 정렬된 배열의 중간값(median)을 출력해야 하므로, 두개의 heap 길이를 비슷하게 유지한다.
      • max heap에 우선적으로 값을 넣고, 1개 이상 길이가 차이날 경우 min heap에 넣는다.
    • max heap의 root 값이 배열의 median 값이라고 정하자.
      • 이 경우, 매번 두 heap 중 하나에 값을 넣을때마다, max heap의 root 값이 min heap의 root 값보다 크면 교환한다.
      • Why?
        1. 각 heap의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을 유지해야하므로
        2. 배열의 길이가 짝수일 경우, median은 중간에 있는 두 수 중에서 작은 수이므로
  37. Champagne-tower

    • 샴페인을 부워서 특정 잔에 얼마나 많은 물이 남아있는지 알아내는 문제
    • 잔에 물을 한컵씩 붓는다고 생각하지 말고, 한번에 다 따라버렸을 때 어떻게 흘러가는지 파악하는게 핵심이다.
  38. 트리의 지름

    • 트리의 지름이란, 트리에서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중 가장 긴 것을 말한다.
    • 구하는 방법: 임의의 노드 A에서 가장 거리가 먼 노드 B를 찾는다. 다시, B에서 거리가 가장 먼 노드 C를 찾으면, BC의 거리가 트리의 지름이 된다.
    • Minimum Height Trees
      • tree-like graph에서 가장 짧은 높이를 가진 tree의 root node를 찾는 문제
      • 트리의 지름에 가장 가운데 존재하는 노드(들)을 찾으면 된다.
        • 이러한 노드들을 centroids 라는 별명으로 부르는데, tree-like graph에서 centroids는 반드시 2개 이하임이 증명되어있다.
      • 푸는 방법은 두 가지: 1) 트리의 지름을 구하면서 지름을 이루는 노드 경로 찾기 2) Topology sort
      • Topology sort의 경우, BFS로 해결한다.
        즉, graph의 leaf node들을 모두 큐에 넣고, 안으로 조금씩 들어가면서 최종적으로 두 노드만 남을 때까지 방문한 노드들을 graph에서 제외시킨다. 그리고 남은 두 노드가 centroids가 된다.
  39. 불량 사용자

    • 'abcd'와 'ab*d'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법
      • '*' 을 제외한 나머지 문자('ab' 그리고 'd')가 동일할 경우
      • '' 을 제외한 나머지 문자 길이 + ''에 해당하는 길이가 같다면, 두 문자열이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40. Check Array Formation Through Concatenation

    • list+로 합칠 수 있다
      • [1,2] + [3,4] = [1,2,3,4]
    • dictget함수가 유용하다
      •   mp= {1: [5]}
          a = mp.get(1, []) # a = [5] 
          b = mp.get(2, []) # b = [] 
        
  41. Convert Binary Number in a Linked List to Integer

    • linked list에 포함된 값을 정수로 바꾸는 문제
    • <<|를 활용하면 공간 복잡도 O(1)로 해결할 수 있다.
  42. 기둥과 보 설치

    • 적은 수에 대한 조합을 고를 땐, 객기 부리지 말고 O(n^2)으로 단순히 생각하자.
  43. Decode String

    • 대괄호 내 알파벳을 배수로 만드는 문제 (e.x. "3[a]2[bc]" -> aaabcbc)
    • DFS랑 stack을 사용하는 방법이 존재하는데, stack을 사용하는 방법 도 괜찮은 것 같다.
  44. Palindrome Index

    • 문자열 중 문자 하나만 빼서 palindrome이 되는 것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문제
    • two pointer를 문자열 양 끝에서 설정하고, 양쪽에서 가운데로 이동하면서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만약, 서로 일치하지 않는 두 문자 A, B가 발생하면, 그때까지 일치한 문자열을 제외하고, A 또는 B를 제외했을 때 palindrome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 aaacdcc의 경우 d를 빼는 것이 맞다. (aa)[a]{c}[d](cc) 왼쪽 처럼, () 소괄호에 있는 문자열은 무시하고, [] 대괄호에 있는 문자 중 하나를 제외 후 {}와 합쳐서 palindrome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45. House Robber III

    • binary Tree로 이루어진 집 구조; 부모 노드의 값을 가지면, 자식 노드의 값을 못가지는 규칙에서, 최대 가질 수 있는 값 찾기
    • DFS에서 시간초과 발생 시, memoization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
      • Hashmap(dict)에서 class instance도 hashing이 가능하다(=key로 활용할 수 있음).
      • Memoization을 굳이 하나의 자료구조로 수행할 필요는 없음. 두 개 이상으로 사용해도 됨.
    • DFS로 안될 것 같으면, DP 도 고려할 수 있음.
  46. 계산기 문제

    1. stack을 활용한다(우선순위 연산자('*','/')가 나오면 stack에서 pop, 아니면('+','-') push)).
    2. 항상 '+' 가 있다고 생각하고 계산한다. (e.g. 1+2+3 -> +1+2+3), 시작 연산자가 '+'.
  47. Longest Substring with At Least K Repeating Characters

    • Divide Conquer 또는 Sliding Window를 사용하여 해결하는 문제
    • Divide Conquer
      • 전체 문자열의 알파벳 중 k 이상 존재하지 않는 알파벳을 발견한 경우, 해당 알파벳의 index 기준으로 문자열을 반으로 나눠서 반복
      • 만약, 문자열의 모든 알파벳이 k 이상 존재한다면, 그 길이들 중 최대값이 정답
      • image-20201127162623966
    • Sliding Window: 분할 정복보다 좀 더 복잡한 솔루션 (아직 이걸로 풀어보지 못함)
      • Window를 움직이는 기준은 문자열 s의 unique 문자 개수 0 < curr_unqiue < len(set(s))
      • 현재 Window에 포함된 unique 문자열 개수가 curr_unqiue 보다 낮을 경우 Window를 오른쪽으로 확장, 그 반대의 경우 왼쪽으로 축소
      • 윈도우를 옮기면서, 윈도우에 포함된 문자열의 모든 알파벳이 k 이상 존재하면, 그 길이들 중 최대값이 정답
  48. Can Place Flowers

    • 배열에 존재하는 양 원소들이 서로 1이 아닐 경우 count 하는 문제
    • 예시) a = [1,0,0,0,1] 의 경우 a[2]만 count 된다.
    • 체크 방법
      • if a[i] == 0 and (i == 0 or a[i - 1] == 0) and (i == len(a) - 1 or a[i + 1] == 0):
  49. Populating Next Right Pointers in Each Node II

    • 이진 트리의 노드 중
    • images

Greedy Algorithm

  1. 전구와 스위치

    • greedy를 이용한 해법은 간단했지만, 그걸 떠올리기에는 역부족이였음
      • 그리고 greedy인것을 알아도 시간초과를 피하기 위해선 조금 트릭이 필요했다.
      • greedy는 경우의 수를 제한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생각하자.
    • 동전 뒤집기
      • 이 문제도 비슷한 문제인데, 1차원 greedy가 2차원으로 확장되었다고 생각하면 됨.
      • Combination 구할 때, bit masking을 사용하면 유용하다.
        • 예시) for i in range(0, 1 << n): -> 이렇게 하면 2^n개의 조합(yes/no)을 구할 수 있다.
      • 잡설) 이 문제를 python으로 푼 사람이 아무도 없음 (속도가 느려서), 나도 pypy3으로 채점했다.
  2. 30

    • 30에 대한 배경 지식과 greedy를 이용하여 푸는 문제
    • 깨달은점
      • 어떤 수의 모든 자리의 수를 더해서 3으로 나눠지면 그 수는 3의 배수다.
      • 배수 관련 문제가 나올때는 그 배수의 값들을 나열한 뒤, 패턴을 찾아보자.
      • 입력값이 말도안되게 크면, 의외로 로직은 간단하다.
  3. Bag of Tokens

    • 가장 큰 값을 받고, 가장 작은 값을 소모하면서 진행해 나가면 된다.
  4. 보석 도둑

    • priority queue와 greedy 문제
      • 가장 크기가 작은 가방을 기준으로, 그 가방에 넣을 수 있는 보석들을 나열(queue에 삽입)하고, 가장 큰 가치를 가진 보석을 뽑는다(pop).
        •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면, 다른 가방도 체크할 때 한번 확인한 보석은 더 이상 크기를 비교할 필요가 없다.
    • multiset과 lower-bound를 활용해도 풀린다고 하는데, python은 multiset대신 sortedcontainers.SortedList()를 사용
    • 비슷한 문제로 순회강연, 과제 가 존재한다.
      • 특정 날짜에 강연을 진행하면 하루가 지나므로, 그 날짜 이후의 강연들의 진행 유무에 영향을 받는다.
      • 하지만, 그 날짜 이전의 강연들은 이미 지나갔으므로 진행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가장 강연 기한이 긴 날부터 짧은 날 순으로 내려가며, 해당 날짜부터 가능한 강연들만 선별하고(n일 기준이면 n, n+1, n+2, ...) 그 강연들 중 얻을 수 있는 최대 이득(강연료)을 찾는다(priority queue 이용).
  5. 센서

    • 문제를 푸는 것보다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어려워서 틀린 문제
    • 1차원 좌표계에 존재하는 N개의 값들을 K개의 연속된 그룹으로 나눴을 때, 각 그룹이 가진 범위들의 합의 최소를 구하면된다.
      • 예를 들어) N = 5: 1 2 6 7 8 그리고 K = 2라면, [1 2] [6 7 8]로 나누는 것이 최소(1([1 2])+2([6 7 8])=3)다.
  6. Split Two Strings to Make Palindrome

    • A의 prefix 와 B의 suffix를 붙여서 만든 palindrome C는 다음을 만족한다.
      • A의 prefix 길이: N > B의 suffix 길이라면, A 앞에서 N 만큼 문자열은 B 뒤에서 N 만큼 문자열을 뒤집은 것과 같다.
      • 그리고, C는 앞, 뒤 N 개의 문자를 제외한 가운데 문자열이 palindrome을 다시 이루고 있다.
      • 예시) A: ak/bbcc + B: cc/bbka = C akbbka (/는 prefix, suffix 구분 표시)
        • N: 2 => A 앞 ak, B 뒤 ka 그리고 가운데 문자열 bb는 palindrome
    • 다시 구현을 권장
  7. Remove Duplicate Letters

    • 중복을 제거하면서 가장 사전 상 빠른 문자열을 만드는 문제 ("cbacdcbc"->"acdb")
    • 문자열의 문자를 모두 count하고, 차례대로 문자를 stack에 넣으면서, stack의 밑바닥이 사전 상 가장 빠른 문자가 오도록 만든다.
      • 단, 문자열에 등장한 문자는 적어도 한번씩은 등장해야 하므로, 문자 등장 횟수에 유의하면서 stack의 문자들을 조절한다.
      • 예를 들어, stack에 bc가 있고 a를 넣는다면, stack은 a가 되야 하지만, stack의 값들이 각각 문자열의 하나밖에 없는 문자인 경우 빼지 않고 stack을 bca로 만든다.

Interval 관련 문제 (Greedy)

  1. 디스크 컨트롤러

    • heap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 가장 짧은 시간이 걸리는 것 중에서 가장 빠르게 요청이 온것을 처리함
      • 그렇다고 또 디스크가 놀고있으면 안되므로, 아무리 짧은 시간이 걸려도 하는게 없으면, 도착한 요청을 바로 처리
  2. 단속카메라

    • 정확성은 옳았으나, 효율적이지 못했음
  3. 회의실배정

    • 핵심은 그리디 및 정렬
    • 열에 따른 정렬 방법 (tie 해결) array.sort(key=lambda x: (x[1], x[0]))
      • 두번째 열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후, 두번째 열의 값이 서로 같으면 첫번째 열의 값으로 오름차순 정렬함
  4. 강의실배정

    • min-heap을 활용하는 문제
      • 모든 강의실의 시간을 빈틈없이 채우기 위해서, 가장 빨리 끝나는 강의실(min-heap)부터 차례로 강의 시간을 채워넣는다.
      • 만약, 주어진 강의 시간 구간이 어느 강의실에도 매칭되지 않다고 판단(heap root 비교)되면, 새로운 강의실을 생성한다(heap item 삽입).
  5. 추석 트래픽

    • 2016-09-15 01:00:04.002 와 같은 시간 문제를 다룰 때 팁
      • time 모듈은 소수점 sec를 지원하지 않는다. 정수 시간만 지원 (e.g. 01:00:04)
      • 년, 월, 일이 문제에 의미가 없다면, 시간을 초 단위로 변경하는 것이 편하다.
        • 년, 월, 일의 초 단위 변환이 필요하면 python tip 참조
      • 어떤 시간 t로 부터 1초 범위는 1000ms 단위로 생각했을 때, t ~ t + 0.999sec 까지다 (t ~ t + 1 sec 아님!).
      • 소수점 덧셈, 뺄셈은 이상한 계산 결과를 종종 내놓는다(e.g. 1 + 0.001 = 1.0010000004).
        • 이런 경우 가장 확실한 방법은 Decimal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round를 이용해도 충분하다.

Dynamic Programming (DP)

  1. 거스름돈

    • dp 문제인데, 타일 문제랑 비슷해서 햇갈렸다. 중요한점은 같은 값끼리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 다는 점
      • 타일은 이미 섞어놓은 조합에서 하나를 더 얹는 것인데, 거스름돈 문제는 개별적으로 올려놓는 느낌 ?
      • 예를 들면, 5를 위해 2 + 1 + 1 과 1 + 1 + 2 은 타일에서 다르지만, 거스름돈에서는 같다. 즉, 1을 먼저 이용 후, 2를 처리해야함
  2. Maximum Non Negative Product in a Matrix

    • 두개의 dp 배열을 활용해야 하는 문제 (창의적이다)
      • Maximum dp, Minimum dp !
  3. 로봇 조종하기

    • Maximum Non Negative Product in a Matrix 문제와 마찬가지로, 2개의 dp 배열을 활용해야 하는 문제다.
      • 여기서는 특정 dp cell의 값을 정할 때, 어느 방향에서 오는가에 따라 dp 배열을 생성했다.
  4. Word Break

    • 여기서 dp는 Boolean 형 dp[i]로 표기될 수 있는데, dp[i]는 주어진 string si번째 substring까지, 주어진 dictionary로 만들 수 있는가 이다.
      • 예를 들어, s = abcde , dict = ["abc", "de"] 가 존재한다면,
        dp[0] = True (empty string), dp[0] -> dp[3] = True (due to "abc"), dp[3] -> dp[5] = True (due to "de")가 된다.
  5. 도둑질

    • 배열이 원형인 경우에 DP를 적용하는 문제
      • 두가지 case로 나눠서 각 case 마다 DP를 진행한 후, 둘 DP 계산 결과에서 가장 큰 값이 최종 정답이 된다.
      • 0 ~ N-1개의 배열의 원소의 경우, 0번째 집을 털거나 N-1번째 집을 터는 경우로 나눠진다.
        • 이렇게 case를 나누면 배열이 원형이 아니라 그냥 직선 형태가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열 문제 (Subsequence)

  1.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 문제를 가장 증가 부분 수열로 착각했다. 문제를 똑바로 읽는 연습을 하자.
    • 이 문제를 O(nlog(n))으로 푸는 방법은 이분 탐색을 이용하는 것, 그리고 수열을 찾아갈 때, 수열의 꼬리(오른쪽 끝)를 최대한 작게 만들어줘야 한다.
    • 인덱스 트리(Index Tree)를 이용해서도 풀 수 있다고 한다.
  2. 부분합

    • 수열 + 연속 합 = Two Pointer 문제
    • head와 tail pointer를 조금씩 움직이면서, 그 사이의 수열을 이용한다. (sliding window와 비슷하기도 함)
  3. 보석 쇼핑

    • Sliding window를 활용하는 문제
      • 연속된 subarray 문제가 나오면 sliding window 개념을 활용하자.

수학

  1. Complement of Base 10 Integer

    • 주어진 binary number a의 1의 보수 bO(log(n))으로 구하는 방법: 2^N-1-a=b (e.g. a= '1010, b= '0101')
  2. 요세푸스 문제

    • 원형 관련 문제에서는 queue를 생각하면 편하다.
    • 시작 index를 0부터 시작해서, 모임 배열 arrk번째 사람을 계속 제외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index = (index + k - 1) % len(arr)을 만족하는 arr[index] 를 지속적으로 지워주면 된다(pop).
  3. Valid Square

    • 주어진 4개의 2차원 점이 정사각형을 이루는지 확인하는 문제
    • 정사각형은 반드시 두 종류의 길이를 가지므로(1.가로=세로, 2.대각선), 모든 꼭지점의 조합에 대한 길이를 구하고 집합에 넣어서 크기를 확인
  4. Mirror Reflection

    • 정사각형 구석에서 레이저를 쏘면 튕겨서 어느쪽 구석에 도달할 것인지 맞추는 문제
    • 튕기는 것을 고려하는 대신, 레이저가 일직선으로 나아간다고 가정하고 풀면 쉽게 풀린다.
    • pq의 비율이 각각 홀수 또는 짝수냐에 따라서 도달할 구석이 달라지므로, 비율을 구하기 위해 gcd(p,q)를 활용한다.
  5. 멀쩡한 사각형

    • 직사각형을 1 by 1 grid로 나누고, 사각형의 대각선 꼭지점을 이을 때, 대각선이 지나가는 사각형의 총 개수를 세는 문제
    • 가로 W, 세로 H 일 때, 총 개수는 W + H - gcd(W, H)
      • gcd(W, H) == 1 의 경우: 대각선으로 생각하지 말고, 대각선을 굽혀서 직사각형의 가장자리만 걸어서 간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총 W + H - 1 개를 지나게 된다.
      • gcd(W, H) == n (n != 1) 의 경우: gcd(W, H) == 1 의 경우를 여러 번 나눈 직사각형이므로, 총 개수는 n * (W/n + H/n - 1) 이다.

이분 탐색

  • 반으로 잘라서 왼쪽 오른쪽 탐색하는 방법 (general way)
    • mid = (start + end) // 2 , 그리고 search(start, mid) (왼쪽), search(mid + 1, end) (오른쪽)
    • mid 를 활용하고, start > end인 경우 중단
  1. 입국심사

    • 심사 시간을 이용해서 시간을 찾는 것이 아니라, 일단 시간을 추정하고 그것이 옳은지 확인
      • 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은 이분 탐색을 이용
    • int(추정 시간값 / 각 심사관별 심사시간) = 심사관당 맡을 수 있는 입국자 수
      • 각 심사가 걸리는 시간은 심사관마다 독립적으로 동작함
  2. Climbing the Leaderboard

    • Dense Ranking 이라는 랭킹 산정 방식이 있다. 동일한 점수를 받은 사람에게는 동일한 등수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공동 1등 이런 식)
      • 특정 사람에 대한 Dense Ranking을 쉽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distinct한 score array를 만들면 된다.
    • 또한 이분 탐색을 위한 bisect는 내림차순 배열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오직 오름차순만 된다.
      • 즉, 내림차순에서 동작하는 bisect를 직접 만들어야 한다.

그래프

  1. DFS의 Graph coloring을 이용하여 Cycle 을 찾는 방법

    1. 세 개의 집합(A, B, C): A는 초기 집합(처음에 모든 노드가 여기 있음)/ B는 후보 집합(cycle이 발생 가능한 노드)/ C는 확정 집합(cycle이 없는게 확인된 노드)
    2. 세 개의 집합를 만들고, DFS로 노드 방문 시, 세 가지 케이스를 다룬다.
      1. 그 노드가 A에 있을 경우: 그 노드를 A에서 B로 옮겨준다.
      2. 그 노드가 B에 있을 경우: B에 있는 노드들에 의해 cycle이 확실하게 발생했다.
      3. 그 노드가 C에 있을 경우: 이미 해당 노드는 cycle이 없는 노드다. 무시하면 됨.
    3. 모든 이웃 노드를 방문한 노드들은 cycle이 없는게 확실하므로, B에서 C로 옮겨준다.
    4. 모든 노드가 A에서 C로 옮겨졌으면 그 directed graph는 cycle이 없다.
    • HashMap(dict)을 이용하여 노드 간 이동을 기록하면, cycle에 해당하는 노드들을 알 수 있다.
    • 관련 문제의 특징: 트리를 어떤 순서대로 방문하려는데, 주어진 노드 순서로 방문이 불가능/가능 한지의 여부를 물어봄
    • 관련 문제
      1. 음악프로그램
        • topology sort
      2. 동굴 탐험
        • Undirected Tree를 Directed Tree로 바꿔줘야 함 (시작 node가 명시되어야 변환이 가능)
        • 바꾸는 방법: 우선 Undirected Tree를 구성하고, BFS로 모든 노드를 방문, 부모-자식 관계를 찾으면서 directed Tree 구성
  2. LCA2, Lowest Common Ancestor

    • LCA 문제는 segment tree 또는 dp 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눠진다.
    • Segment Tree *
    • DP *

공부해야할 자료구조 또는 알고리즘

  1. Segment (or Segmentation) Tree & Index Tree

    • Fenwick Tree (Binary Indexed Tree)

      • Segment Tree 보다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트리
    • 구간 합 구하기

      • Segmentation Tree를 처음 구현해봄 (트리 생성, 수정, 구간 합)
    • 최솟값과 최댓값

      • 구간의 합 대신, 최대값과 최소값을 segmentation tree로 구현
      • 재귀에서 return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연습이 더 필요함
    • 구간 곱 구하기

      • 트리 수정에서, 구간 곱의 경우, 구간 내 원소가 0 으로 수정될 경우 전부 꼬이게된다. 이런 경우, 수정할 원소가 속하는 구간만 트리에서 새로 계산한다.
  2. Trie

    • HashMap(dict in python)을 활용해서 만든 트리

      • 여러 단어들을 하나의 트리에 넣어서, prefix/whole word 처리를 할 때 유용하다.
      • Trie 구조 생성 복잡도 O(L*N)(L: 문자열 최대 길이, N: 문자열 총 개수)
    • 관련 문제들 (어려운 문제가 아닌 경우, Trie 를 따로 만들지 않고 set 또는 dict으로 풀린다))

      • 전화번호 목록, 개미굴
      • 가사 검색
        • 패턴 매칭 시, Trie 활용 팁 두가지
          1. 각 Trie node에 length 변수 추가 후 Trie 구축중에 계산 (length: 해당 노드 이후 매칭되는 단어의 총 개수)
          2. prefix 단어(e.g. ???ord) matching 에는 단어를 거꾸로 해서 넣은 Trie 사용, postfix 단어(e.g. ord???) matching 에는 일반 Trie 사용
          3. 만약 매칭해야되는 단어의 길이가 다양할 경우, 길이에 따른 여러개의 Trie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 휴대폰 자판
        • Trie에 포함된 전체 단어들에 대해서 한꺼번에 재귀로 계산할 수 있는가? (풀긴 풀었는데 코드를 다시 한번 생각)
    • 관련 알고리즘

      • KMP 알고리즘 (Knuth-Morris-Pratt string matching algorithm)
      • 아호 코라식 알고리즘 (Aho-Corasick multiple pattern matching algorithm)
  3. Union-Find

    • 공항
      • g_i가 입력으로 들어온 비행기가 들어갈 게이트는 1 <= g_i <= G인데,
        최대한 많은 도킹을 위해선 오른쪽 g_i부터 왼쪽 1까지 찾아가면서 빈자리에 넣는 것이 맞다.
      • g_i에 비행기를 넣으면 그 다음 도킹할 게이트는 g_i-1이므로, g_i의 부모를 g_i-1로 설정한다(union).
        • 위 과정에서 g_i의 부모가 0인 경우는 빈 게이트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0-1 BFS

  5. Suffix Array

    • Suffix Array (아직 못풀음)
      • 이 자료구조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은 쉽지만, 이 구조를 활용하고, 빠른 시간내에 구축하는게 핵심인 자료구조.
      • SA(Suffix Array)의 구축을 위한 naive approach는 O(n^2*log(n))이고, 좀 더 빠른 접근은 O(nlog(n))에 가능함
  6. lazy propagation

  7. 위상 정렬 (Topology Sort)

    • Cycle이 없는 directed graph가 주어질 때, 모든 노드들을 DFS를 통해 방문한 순서로 나열한 정렬 방법
      • a -> b -> c 라면, a b c가 나와야 한다.
      • 즉, DFS를 통해 방문한 마지막 노드부터, 모든 노드 값을 stack에 넣고 꺼내면 된다. stack: [c, b, a] -> a b c
      • 시간 복잡도는 O(V + E) (V는 노드(vertex) 개수, E는 edge 개수)
    • priority queue와 노드의 indegree 값을 이용해도 위상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 어떤 노드의 indegree란, directed graph에서 그 노드로 향하는 화살표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 관련 문제
      • 줄 세우기: 그냥 위상 정렬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됨
  8. Floyd-Warshall algorithm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한 알고리즘
      • 다익스트라는 single source shortest path 였지만, 플로이드-워셜은 all pairs shortest path이다.
      • 다익스트라는 음의 가중치를 가진 간선은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플로이드-워셜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
    •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의 단점은 시간 복잡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V^3, V는 vertex 개수)
    • 핵심: 플로이드-워셜은 다음과 같은 재귀식을 반복한다.
      • dist[i][j] = min(dist[i][j], dist[i][k] + dist[k][j])
      • 위 식은 정점 ij 사이에 k라는 정점을 통한 경로를 추가하였을 때, ij 사이의 최단 경로를 의미함
    • 관련 문제
      • 플로이드 : 만약 동일한 정점 간 사이의 거리가 여러개라면, 그 중 최소만 설정한다.
      •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 DFS, BFS로 풀어도 되지만,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개념을 이용해도 풀기가 가능한 문제
        • A->C 로 가는 것은 불가능(False)해도, A->B 이 가능(True)하고, B->C가 가능하다면, A->C도 가능하다.
  9. Minimum-Spanning Tree (MST) : 최소 비용 신장 트리

    • 가장 적은 비용으로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연결한 트리
    • 크루스칼 알고리즘: MST를 만드는 알고리즘
      • 간선 간 가중치를 min-heap에 넣고, 하나씩 꺼내어 union-find를 활용해 이으면서 트리를 구성해 나간다. 트리이므로 cycle은 만들지 않도록 주의한다.
        • cycle 확인 방법: union-find를 이용해서 서로 부모가 같다면 이을 필요가 없음 (이으면 cycle 발생)
    • 관련 문제

python tip

  1. 재귀 함수 최대 깊이 늘리기 sys.setrecursionlimit(10**7) (메모리 초과 가능성 농후)

  2. ord 는 character를 ascii 값으로, chr는 ascii 값을 character로 바꾸는 built-in function

  3. JAVA 와 같은 comparator를 이용하고 싶으면, from functools import cmp_to_key를 가져온 뒤에,
    sorted(nums, key=cmp_to_key(lambda x, y: x - y))) 와 같은 방법으로 정렬을 하자. (물론 따로 comparator 함수를 정의해도 됨)

  4. 문제풀이 할때, 입력은 sys.readline().strip() 으로 받는다. sys.readline()은 line을 전부 입력 받는 것

  5. loop 돌면서 특정 item 찾을 때, 못 찾을 경우 (False/True같은) temporary variable을 사용하지 않고 예외 처리 방법

    haystack = dict(); needle = 'a'
    for letter in haystack:
    if needle == letter:
        print('Found !')
        break
    else:    # If no break occurred (indentation을 for loop와 같이 맞춘다.)
        print('Not found!')
  6. sample = defaultdict(dict)sample["a"]["b"] = 2와 같은 형태로 dictdict을 정의하게 해준다.

    • 또한, defaultdict(dict)은 key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default 값을 dict으로 한다.
      • 즉, if "c" not in sample then sample["c"] is dict()라는 의미다. (defaultdict(list) 이렇게도 가능)
  7. 2진수 (binary number)의 모든 1 계산하기 (bin(i).count("1"))

  8. 어떤 값 a에서 특정 값 ba가 0이 될 때까지 빼내기

    a = 5; b = 3
    while a > 0:
       subtracted = min(a, b)      # b = 3 값을 빼냄
       a = max(0, a - b)           # 빼낸 값 a를 조정
  9. 집합 ab의 차집합은 a-b로 구한다.

  10. 입력된 값을 자동으로 정렬해주는 pure python list: sortedcontainers.SortedList() (근데 속도가 꽤 느림, 비추천)

    • heapq도 마찬가지로 입력된 값을 정렬해주기는 하지만, heapq로 사용되는 list는 index별로 정렬되있지는 않다.
    • add()로 데이터 입력, 다루는 건 list와 똑같음, bisect 사용 가능
  11. 리스트 정렬 시, 첫번째 원소는 오름차순, 두번재 원소는 내림차순 정렬: array.sort(key=lambda x: (x[0], -x[1]))

  12. 어떤 문자열이 특정 문자열로 시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싶다면: 'this is test!'.startswith('this') -> True

  13. 소수점 5 번째 자리까지 출력하는 str type 변수 만들기: floating_num = '{:.5f}'.format(3.141592687)

  14. print로 출력 시, , 간 간격을 수정하고 싶다면: print('<','>', sep='')-> <> 출력 (< > 아님)

  15. 시간에 관련된 문자열을 time format으로 변환

    • k = time.strptime('2016-09-14 01:00:06', '%Y-%m-%d %H:%M:%S')
    • 초 단위로 변환: time.mktime(k) # 1473782406.0

SQL

  1. LIMIT: 테이블 가장 상위의 행 하나만 출력하기 SELECT * FROM sample LIMIT 1
    • SUM,MAX, MIN의 aggregation 을 이용해서 하나만 출력할 수 있다.
  2. 중복 제거
    • tuple 중복에는 DISTINCT 사용: SELECT DISTINCT * FROM sample
      • COUNT와 중복해서 사용하는 법 SELECT COUNT(DISTINCT name) FROM sample
    • 특정 column 중복에는 GROUP BY 사용: SELECT * FROM sample GROUP BY name
  3. NULL 처리
    • NULL 제거: SELECT * FROM sample WHERE name is not NULL
    • COUNT 사용 시, NULL 은 알아서 제외하고 count 함
    • IFNULL (NULL값이면 다른 값으로 처리) : SELECT IFNULL(name, 'No name') FROM sample
  4. 날짜 데이터 추출
    • YEAR, MONTH, DAY, HOUR, MINUTE, SECOND
    • 날짜 출력 포맷 변경: SELECT DATE_FORMAT(datetime, '%Y-%m-%d) from sample
      • 시/분/초 : %h-%i-%s (%H는 24시간, %h는 12시간 단위)
    • column 포맷 변환(CAST): SELECT CAST(datetime AS DATE) from sample
    • 날짜 차이: DATEDIFF(d1, d2) 또는 d1 - d2 (d1가 이후 그리고 d2가 이전이여야 양수값)
  5. JOIN
    • OUTER JOIN : SELECT * FROM sample AS a LEFT OUTER JOIN sample_2 AS b ON a.name=b.name
    • INNER JOIN : SELECT * FROM sample AS a INNER JOIN sample_2 AS b ON a.name=b.name
      • 다른 방법 : SELECT * FROM sample a, sample_2 b WHERE a.name=b.name
        • 응용 가능 (이름이 같거나 성적이 같거나) : SELECT * FROM sample a, sample_2 b WHERE a.name=b.name OR a.grade=b.grade
  6. CASE 또는 IF
    • 이름에 'woo'가 들어가 있으면 'O'로 표시: SELECT CASE WHEN name LIKE '%woo%' THEN 'O' FROM sample
      • IF 를 사용한 버전 (안들어가 있으면 'X' 표시도 추가): SELECT IF(name LIKE '%woo%', 'O', 'X') FROM sample
  7. HAVING
    • Aggregation(GROUP BY, SUM, COUNT etc.)에 조건문 처럼 쓰임
      • SELECT COUNT(CustomerID) FROM Customers GROUP BY Country HAVING COUNT(CustomerID) > 5
  8. IN
    • 특정 value에 포함된 record만 추려냄
      • SELECT * FROM Customers WHERE Country IN ('Germany', 'France', 'UK')
      • SELECT * FROM Customers WHERE Country IN (SELECT Country FROM Suppliers)
  9. With Recursive
    • 1 부터 10 까지 포함하는 테이블 만들기
      • with recursive f(n) as (select 1 union all select n + 1 from f where n < 10)
      • 사용 : select n from f